안전보건 경영체계
| 외부환경 |
|---|
| ⦁ (기회) 공공기관 자회사로서 역량 확대 잠재력 ⦁ (위협) 규모 대비 규제 비대화 |
| 내부역량 |
|---|
| ⦁ (강점) ESG·안전청렴윤리체계 확립 및 제도화 ⦁ (약점) 업무프로세스 및 경영관리의 체계화 |
|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 안전보건경영 |
|---|
| 안전관리 고도화를 위한 역량 강화 |
|---|
| 선제적이고 효율적 안전보건체계 구축 |
|---|
| ESG 및 사회공헌 실천을 통한 공공성 실현 |
|---|
①산업재해 10건 미만 발생
②직업성질환 산업재해 ZERO 달성
③종사자 의견청취 120건 접수
④비상대응교육 70% 이수
| 선제적 안전보건체계 확립 |
|---|
| 구성원 건강관리 사각지대 적극 해소 |
|---|
| 적극적인 근로자 의견 청취 |
|---|
| 비상 대응능력 강화로 공공안전 이바지 |
|---|
| 위험성평가를 통한 유해 · 위험요인 사전제거 |
|---|
|
| 자율 안전보건 관리 체계 강화 |
|
| 보건 취약 대상에 대한 적극적 보건관리 |
|---|
|
| 요인별 맟춤형 보건관리 |
|
| 위험성평가 근로자 참여 활성화 |
|---|
|
| 제안제도 활성화 |
|
| 응급처치 역량 강화 |
|---|
|
| 비상대응 능력강화 |
|
|
|
|
|
| 선제적 안전보건체계 확립 |
|---|
| ⦁ 단 · 중기(2025~2027) 체계적 안전보건관리기조 강화 ⦁ 단 · 장기(2025~2030) 현장 친화적 안전예방활동 강화 |
| 구성원 건강관리 사각지대 적극 해소 |
|---|
| ⦁ 단기(2025~2026) 사전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고도화 ⦁ 중기(2027~2028) 사후대응적 건강관리시스템 체계화 |